실업급여 일소정근로시간안녕하세요. 제가 스케줄 근무로 한 곳에서 6개월 > 주 5일 일6시간 근무 8개월 > 주4일 일8시간 근무 1개월 > 주5일 일8시간 근무 3개월 > 주2일 8시간 근무 이렇게 총 1년 6개월 근무를 했었는데요. 이직확인서에 일소정근로시간이 4시간으로 뜨는데 맞는건가요? 근무시간이 자주 바뀌어서 어렵다보니 질문합니다.
실업급여와 관련하여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실업급여를 받을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일소정근로시간입니다. 이 시간은 근로자가 근무하는 곳에서 설정한 기준 근로시간을 의미하며, 주당 평균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제공하신 근무 이력을 살펴보면, 근무 시간이 여러 번 변동되어 있어 정확한 일소정근로시간을 계산하기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일소정근로시간은 근로자의 평균 주당 근로시간을 바탕으로 결정됩니다.
여기서 여러분의 근무를 기반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 주 5일 일 6시간 근무 (6개월):
- 주당 30시간 (6시간 × 5일)
- 주 4일 일 8시간 근무 (8개월):
- 주당 32시간 (8시간 × 4일)
- 주 5일 일 8시간 근무 (1개월):
- 주당 40시간 (8시간 × 5일)
- 주 2일 일 8시간 근무 (3개월):
- 주당 16시간 (8시간 × 2일)
이렇게 근무한 기간 동안의 총 근로시간을 구해보면:
- 6개월: 30시간 × 26주 = 780시간
- 8개월: 32시간 × 34주 = 1,088시간
- 1개월: 40시간 × 4주 = 160시간
- 3개월: 16시간 × 12주 = 192시간
이 총합은 780 + 1,088 + 160 + 192 = 2,220시간이 됩니다.
이제 이 근로시간을 1년 6개월(18개월)로 나누면 평균 주당 근로시간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2,220시간 ÷ 78주 ≈ 28.46시간
따라서 평균적으로 주당 근로시간은 약 28.5시간 정도입니다.
이런 경우, 고용보험 공단에서는 정규 근로시간에 대한 기준을 두기 때문에, 귀하의 이직확인서에서 일소정근로시간이 4시간으로 나오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직확인서의 일소정근로시간은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산정되므로, 실제 근무시간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근무하신 회사의 인사부서에 문의하거나, 고용노동부의 고용센터에 상담을 받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이로 인해 실업급여 수급에 필요한 정보를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티스토리 구독 해두시면 다양한 정보들을 무료로 구독해 보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