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2대를 연결해서 사용하는데 모니터 간 연결 질문지금 컴퓨터 2대( 메인컴, 서브컴 ) 모니터 3대( 메인컴2대, 서브컴 1대 ) 사용중인데요. 메인컴에서도 중앙에 놓고 쓰는 메인 모니터가 25인치 360hz 사이드에 피벗으로 놓고 쓰는 메인 컴퓨터의 서브모니터가 32인치 165hz 서브컴에 달려있는 모니터가 27인치 144hz 모니터입니다.
현재 두 대의 컴퓨터와 세 개의 모니터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중이시군요. 이런 환경에서는 모니터와 컴퓨터 간의 연결 방식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나 게임/작업 성능에 큰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각 모니터의 해상도와 주사율, 그리고 용도에 맞는 최적의 연결 방법을 찾아보겠습니다.
현재 설정 분석
- 메인 컴퓨터 (Main PC):
- 25인치 360Hz 모니터 (주 모니터)
- 32인치 165Hz 모니터 (서브 모니터)
- 서브 컴퓨터 (Secondary PC):
- 27인치 144Hz 모니터 (서브 컴퓨터 전용)
이 구성에서의 핵심은 각 모니터의 주사율과 해상도를 최적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주사율이 높을수록 부드러운 화면 전환을 제공하기 때문에, 주로 게임이나 고급 작업을 하는 모니터의 연결 방식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1. 모니터 연결 방법
메인 컴퓨터의 모니터 연결
- 25인치 360Hz 모니터는 고주사율을 요구하는 모니터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DisplayPort 포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HDMI는 고주사율을 지원하는 모델이 있지만, 360Hz를 원활하게 지원하려면 DisplayPort 1.4 이상을 사용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32인치 165Hz 모니터는 게임용 서브 모니터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DisplayPort 또는 HDMI 2.0 이상을 사용하여 165Hz 주사율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메인 컴퓨터에서 이 모니터를 서브로 쓴다면, HDMI 2.0 이상이나 DisplayPort 1.2 이상을 권장합니다.
서브 컴퓨터의 모니터 연결
- 27인치 144Hz 모니터는 HDMI 2.0 또는 DisplayPort 1.2를 사용하여 144Hz의 주사율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서브 컴퓨터에서는 이 모니터를 주로 서브 작업에 사용하실 텐데, 그래픽 카드와 연결된 포트에 맞는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두 컴퓨터 간의 모니터 전환 방법
두 대의 컴퓨터와 세 개의 모니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KVM 스위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KVM 스위치는 여러 컴퓨터를 하나의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로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이를 사용하면 두 컴퓨터 간에 모니터를 손쉽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KVM 스위치 사용
- KVM 스위치를 사용하면 1개의 모니터를 두 컴퓨터에서 공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5인치 360Hz 모니터를 메인 컴퓨터와 서브 컴퓨터 간에 쉽게 전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단일 모니터를 두 대의 컴퓨터에서 손쉽게 전환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 KVM 스위치를 선택할 때는 반드시 고주사율 지원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360Hz의 고주사율을 지원하는 KVM 스위치가 필요합니다. 보통 고급 KVM 스위치가 이러한 고주사율을 지원하므로, 주사율에 맞는 모델을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모니터 설정 관리
각각의 모니터에 대해 설정을 어떻게 관리할지에 대한 부분도 중요합니다. 여러 대의 모니터를 사용할 때는 주로 아래와 같은 설정을 활용합니다.
- 디스플레이 설정: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각 모니터의 해상도와 배치, 주사율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인 모니터를 360Hz로 설정하고, 서브 모니터를 165Hz로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 마우스와 키보드 관리: 두 대의 컴퓨터를 동시에 제어하려면, 멀티 디스플레이 설정과 함께 마우스 및 키보드를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예: Synergy, Mouse Without Borders 등)을 사용하여 마우스와 키보드를 원활하게 두 컴퓨터 간에 넘나들 수 있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문제 해결 및 고려사항
- 전원 관리: 여러 대의 컴퓨터와 모니터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전력 소모가 커지므로, 각 컴퓨터와 모니터에 적합한 **전원 공급 장치(UPS)**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원 공급이 불안정하면 모니터나 컴퓨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케이블 길이: 모니터 간 거리가 멀 경우 케이블의 품질과 길이에 따라 신호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고품질의 케이블을 사용하여 화면 깜빡임이나 신호 끊김 현상을 방지하세요.
결론
현재 설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 모니터의 고주사율을 최적화하고, 두 대의 컴퓨터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KVM 스위치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손쉽게 모니터와 입력 장치를 전환하면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각 모니터에 맞는 **고급 전송 방식 (DisplayPort, HDMI 2.0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각 모니터의 주사율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세요.
티스토리 구독 해두시면 다양한 정보들을 무료로 구독해 보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