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질문이여!세종어제훈민정음 의 어린은 현대국어로 어리석은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현대국어는 현대어 말하는거 아닌가요? 어린은 현대어로 나이가 적은 뜻인데
세종어제훈민정음에서 "어린"이라는 단어는 현대국어에서 사용하는 "어리석은"이라는 의미와는 다른 뜻을 가지고 있음. 현대국어에서 "어린"은 보통 "나이가 적은" 또는 "어리다"는 의미로 쓰임. 하지만 훈민정음에서 "어린"은 "어리석은"이라는 뜻이 아니라 "어리다" 또는 "미숙하다"는 의미였음.
훈민정음에 나오는 "어린"은 실제로 "어리석다"는 뜻의 고어 표현 중 하나로, 이때 "어린"은 대체로 "지혜나 경험이 부족한" 상태를 뜻했음. 이는 나이가 적고 미숙한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해석할 수 있음. 현대국어에서 "어리석은"이라는 뜻으로만 사용하는 "어린"은 훈민정음에서 나오는 의미와는 다르게 발전된 경우임.
즉, 훈민정음에서 "어린"은 현대국어에서 "어리석은"이라는 뜻이 아니라 "미숙한" 또는 "어린 나이"라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 맞음. 이후 현대국어에서는 "어리석은"의 의미로 쓰이게 되었고, 현재의 "어린"은 "나이가 적은" 의미로 변형되었음.
티스토리 구독 해두시면 다양한 정보들을 무료로 구독해 보실 수 있어요.